"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베이킹에서 폴딩 (Folding) 이란? 폴딩단계
본문 바로가기
baking

베이킹에서 폴딩 (Folding) 이란? 폴딩단계

by Bikinibaker 2023. 8. 14.
반응형

폴딩이란

베이킹에서 많이 들어 봤을 단어인 폴딩이란 수분율이 높은 반죽에 힘을 강화하는 방법 중 하나로, 즉 접는 방법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폴딩 방법

폴딩은 반죽의 한쪽 옆면을 잡고 충분히 잡아당겨 반죽을 다른 쪽에 위에 포개듯이 얹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1차 발효를 하는 동안 여러 번 반복하면서 글루텐 구조가 만들어지고, 발효 중 발생하는 가스를 담아 반죽의 힘이 좋아지게 됩니다.

반죽/폴딩/단계/이미지
The Pantry Mama 폴딩 이미지

글루텐 조직

베이킹을 할 때 주로 믹서기를 이용해 글루텐 조직을 만듭니다. 고속믹싱을 오래 하여 단단한 글루텐조직이 있는 반죽은 발효속도가 빠릅니다. 발효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시간적으로는 장점이 될 수 있지만, 빵의 풍미와 품질을 높이기에는 역부족합니다. 하여 1차 발효 때 폴딩을 하여 믹싱 속도를 느리게 하고 글루텐 조직을 느슨하게 하면 천천히 발효되면서 빵의 풍미가 좋아질 수 있습니다.

폴딩의 시점

폴딩은 주로 1차 발효때 하는 것이 좋고, 폴딩을 다시 하는 시점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반죽이 완전히 힘이 없고 늘어져 퍼졌을 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폴딩의 횟수는 반죽의 수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분율이 높은 진 반죽인 경우는 글루텐이 쉽게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30분에 한번 정도의 폴딩으로 글루텐조직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폴딩 할 때 주의할 점

폴딩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폴딩을 지나치게 많이 하거나 빨리 하지 않고, 반죽의 상태에 따라서 더하거나 덜할 수도 있어야 합니다. 반죽을 잡고 충분히 늘이지만 반죽이 끊어지지 않을 정도까지만 잡아당겨야지 안 그러면 글루텐 조직이 손상되고 가스가 빠져나가게 됩니다.

폴딩을 마치고 분할을 하거나 성형을 할 때도 반죽을 조심스럽게 다뤄야 합니다. 그래야 좋은 향을 품고 있는 반죽의 가스가 빠져나가지 않고 유지될 수 있습니다. 반죽을 분할할 때도 최소한의 덧가루를 사용하고 스크레이퍼로 조심스럽게 다뤄야 글루텐이 상하지 않습니다.

 

발효 시간

2차 발효는 마지막 발효라고도 부르는데, 이때는 반죽의 온도와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1시간에서 최대 16시간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1차 발효처럼 저온숙성발효를 통해 발효시간을 길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차 발효와 2차 발효 두 단계 모두를 저온숙성으로 오래 하는 것은 반죽을 산성화 시킬 수 있어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때문에 둘 중 한 단계에서만 저온숙성발효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효는 충분하지만 지나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